[사진 출처=글로벌이코노믹]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은행채 등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은행권 조달비용이 커지면서 지난달 가계대출 금리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8월 신규 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4.83%로 전월보다 0.03%포인트(p) 상승했다.

가계대출 금리는 6월(4.81%)과 7월(4.80%) 두 달 연속 떨어졌다가 3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가계대출 금리가 상승세로 전환한 것은 시장금리가 오른 탓이다.

서정석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와 은행채 5년물 등의 금리가 오르면서 가계대출 금리가 인상 압력을 받았다"고 말했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4.31%)과 일반 신용대출(6.53%)이 각 0.03%p, 0.01%p 높아졌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변동형 금리가 4.50%를 나타내면서 전월보다 0.05%p나 올랐다. 이는 고정형(4.25%·0.03%p↑)보다 큰 상승폭이다.

이에 따라 고정형 금리가 변동형보다 낮고 금리 상승폭도 낮은 수준을 나타내면서 전체 주담대 중 고정금리 비중은 커졌다. 고정금리 비중은 7월 73.7%에서 8월 76.5%로 높아졌다.

이에 대해 서 팀장은 "가계대출에서는 금리상승 기대 강화와 주담대 금리차 확대 등에 고정금리 비중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기업대출 금리는 5.21%로 전월 대비 0.04%p 떨어졌다. 대기업 금리(5.17%)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중소기업 금리(5.24%)가 0.08%p 하락했다. 지표금리 가운데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등이 내렸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더 보기 →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