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퇴사 후 외부기관에서 경력을 쌓은 인재를 재유치하기 위해 전직자 재채용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 복귀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한은의 인력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중앙은행이라는 명성에 비해 턱없이 낮은 처우가 원인으로 꼽힌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퇴직한 한은 직원이 전직자 재채용제도를 활용해 다시 채용된 사례는 28년간 총 3건에 그쳤다.
전직자 재채용제도는 퇴직 후 외부기관 근무 경력을 보유한 자가 한은에 다시 재취업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제도로 1995년 11월 도입됐다.
하지만 실제 한은을 떠난 직원이 이 제도를 활용해 한은에 복귀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 마저도 제도 시행 초기에 몰려있었고 1998년 1월 이후에는 한은에 복귀한 직원은 전무했다.
수원지점에서 일하던 A씨는 1996년 6월 퇴직 후 이듬해 3월에 다시 수원지점에 복귀했고, 감독기획국에서 근무하던 B씨는 1997년 4월 한은을 떠났다가 같은해 9월 재채용 제도를 통해 한은에 돌아왔다. 인력개발실에서 근무하던 C씨는 1997년 3월 퇴직했다가 1998년 1월 제도를 통해 재입사했다.
더 보기 →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